맨위로가기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페메니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페메니노는 우루과이 여자 축구 리그로,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두 리그로 진행되며, 각 리그 우승팀은 챔피언 결정전을 치른다. 우승팀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에 진출하며, 디비시오날 A와 B 간 승강 시스템이 존재한다. 2023년에는 CA 리버 플라테가 강등되고 우라칸 부세오가 승격되었다. 역대 챔피언으로는 람블라 호히스, 나시오날, 리버풀, 페냐롤 등이 있으며, 나시오날이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루과이의 축구 리그 -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00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1932년 프로화된 우루과이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며, 페냐롤과 나시오날이 리그 역사를 양분하고 2024년에는 16개 팀이 참가한다.
  • 우루과이의 축구 리그 - 우루과이 세군다 디비시온
    우루과이 세군다 디비시온은 1903년에 시작되어 여러 명칭 변경을 거쳐 1983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 중인 우루과이 축구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로, 우승팀은 다음 시즌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하며 개막 및 폐막 토너먼트로 진행되고 10개에서 14개 클럽이 참가한다.
  • 남아메리카의 여자 축구 리그 - 프리메라 디비시온 데 푸트볼 페메니노 데 칠레
    프리메라 디비시온 데 푸트볼 페메니노 데 칠레는 칠레 여자 축구 1부 리그로,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를 통해 연 2회 우승팀을 결정하며, 콜로-콜로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2024년에는 13개 팀이 참가한다.
  • 남아메리카의 여자 축구 리그 - 캄페오나토 데 푸트볼 페메니노
    캄페오나토 데 푸트볼 페메니노는 1991년에 시작된 아르헨티나 여자 축구 리그이며, 2019-20 시즌부터 프로화되어 보카 주니어스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우승팀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에 출전한다.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페메니노
기본 정보
명칭캄페오나토 우루과요 데 푸트볼 페메니노
로마자 표기Campeonato Uruguayo de Fútbol Femenino
약칭캄페오나토 우루과요 페메니노
로마자 표기Campeonato Uruguayo Femenino
국가우루과이
대륙 연맹남미 축구 연맹 (CONMEBOL)
축구 협회우루과이 축구 협회 (AUF)
설립 연도1997년
리그 구조
리그 등급1
강등캄페오나토 우루과요 데 푸트볼 페메니노 디비시오날 B
시즌 정보
참가 팀 수15
최근 우승클럽 나시오날 데 푸트볼 (여자) (2024)
현재 시즌2024
관련 정보
대륙 컵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
최다 우승람플라 주니오르스 (9회)
공식 웹사이트우루과이 축구 협회 공식 웹사이트

2. 진행 방식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페메니노의 리그 진행 방식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2014년에 도입된 형식은 두 단계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팀들이 그룹별 경기를 치른 후, 상위 팀들은 챔피언십 라운드인 Copa de Oro|코파 데 오로es로, 하위 팀들은 순위 결정전인 Copa de Plata|코파 데 플라타es로 진출했다. 코파 데 오로 우승팀이 전국 챔피언 자격을 얻었으며[1], 코파 데 플라타 최하위 팀은 하위 리그(캄페오나토 우루과요 페메니노 B)로 강등되었다.

2017년부터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방식이 도입되었다. 해당 시즌에는 7개 팀이 1단계 리그를 치른 후, 1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통과한 3팀(2~6위 팀 중)이 최종 4팀을 이루어 점수를 초기화하고 라운드 로빈 방식(cuadrangular|콰드랑굴라르es)으로 우승팀을 가렸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모두 표준적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리그는 디비시오날 A와 B로 나뉘어 운영되며, 승강제를 통해 팀들이 이동하고, 최상위 팀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에 진출한다.

2. 1. 디비시오날 A 및 B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데 푸트볼 페메니노는 디비시오날 A와 디비시오날 B로 나뉘며, 각 디비시오날에는 10개의 클럽이 참가한다. 우루과이 남자 축구 리그인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과 마찬가지로 전기 시즌인 아페르투라(Apertura)와 후기 시즌인 클라우수라(Clausura)로 나누어 진행된다.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는 모두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으로 치러진다.

시즌 종료 후, 디비시오날 A에서 최종 순위가 가장 낮은 2개 팀은 디비시오날 B로 강등되고, 디비시오날 B에서 최종 순위가 가장 높은 2개 팀은 디비시오날 A로 승격된다. 또한, 디비시오날 A에서 최종 순위가 가장 높은 팀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에 진출한다.

2. 2. 전기 리그 및 후기 리그 (아페르투라 및 클라우수라)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페메니노는 우루과이 남자 축구 리그와 마찬가지로 전기 시즌인 아페르투라(Apertura)와 후기 시즌인 클라우수라(Clausura)로 나누어 진행된다.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는 모두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으로 치러진다.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형식은 2017년부터 도입되었다. 2017년 시즌은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7개 팀이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1위 팀은 2단계에 바로 진출했고, 2위부터 6위까지의 팀들은 플레이오프 라운드를 거쳐 추가로 세 팀이 2단계에 진출했다. 이렇게 결정된 최종 4개 팀은 점수를 초기화한 후, 라운드 로빈 방식(cuadrangular|콰드랑굴라르es)으로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

2018년부터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모두 표준적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2. 3. 승강 시스템

디비시오날 A에서 최종 순위가 가장 낮은 2개 팀은 디비시오날 B로 강등되고, 디비시오날 B에서 최종 순위가 가장 높은 2개 팀은 디비시오날 A로 승격된다.

2. 4. 국제 대회 진출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페메니노 디비시오날 A에서 최종 우승을 차지한 팀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에 우루과이 대표로 출전할 자격을 얻는다.[1] 현재 리그 형식에서는 코파 데 오로(Copa de Oro)라고 불리는 챔피언십 라운드의 우승팀이 전국 챔피언이 되어 해당 대회 진출권을 획득한다.[1]

3. 참가 클럽

2023 시즌 캄페오나토 우루과요 데 푸트볼 페메니노에는 총 10개의 클럽이 참가하였다. 자세한 참가 클럽 목록은 아래와 같다.

3. 1. 2023 시즌 참가 클럽 목록

클럽명연고지
페냐롤 (여자축구)몬테비데오
콜론 FC몬테비데오
클루브 나시오날 데 풋볼 (여자축구)몬테비데오
리네아 D (우루과이 축구 협회 산하 축구단)몬테비데오
리버 플레이트 몬테비데오몬테비데오
페닉스 카넬로네스 (우루과이 축구 협회 산하 축구단)카넬로네스
리버풀몬테비데오
CA 렌티스타스몬테비데오
프로그레소몬테비데오
베야 비스타몬테비데오


4. 역대 챔피언

우루과이 축구 협회가 주최하는 우루과이 선수권 대회는 1997년에 시작되었다. 그 이전에는 비공식 선수권 대회가 열렸다.

회차시즌우승팀준우승팀
11997나시오날람플라 주니어스
21998람플라 주니어스나시오날
31999람플라 주니어스나시오날
42000나시오날람플라 주니어스
52001람플라 주니어스나시오날
62002람플라 주니어스나시오날
72003람플라 주니어스몬테비데오 완더러스
82004람플라 주니어스우라칸
92005람플라 주니어스우라칸
102006람플라 주니어스이나우
112007리버 플레이트람플라 주니어스
122008람플라 주니어스리버 플레이트
132009리버 플레이트람플라 주니어스
142010나시오날리버 플레이트
152011나시오날세로
162012세로몬테비데오 완더러스
172013[2][3]콜론나시오날
182014[4]콜론나시오날
192015[5][6]콜론나시오날
202016[7]콜론나시오날
212017[8]페냐롤콜론
222018페냐롤콜론
232019페냐롤나시오날
242020나시오날페냐롤
252021데펜소르 스포르팅나시오날
262022나시오날페냐롤
272023페냐롤나시오날
282024나시오날페냐롤


4. 1.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람플라 주니어스(Rampla Juniors)941998, 1999,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81997, 2000, 2007, 2009
나시오날(Nacional)7101997, 2000, 2010, 2011, 2020, 2022, 20241998, 1999, 2001, 2002, 2013, 2014, 2015, 2016, 2019, 2021
페냐롤(Peñarol)432017, 2018, 2019, 20232020, 2022, 2024
콜론(Colón)422013, 2014, 2015, 20162017, 2018
리버 플레이트(River Plate)222007, 20092008, 2010
세로(Cerro)1120122011
데펜소르 스포르팅(Defensor Sporting)102021
우라칸(Huracán)022004, 2005
몬테비데오 원더러스(Montevideo Wanderers)022003, 2012
이나우(Inau)012006


참조

[1] 웹사이트 Uruguay 2014 Women Championship https://www.rsssf.or[...]
[2] 웹사이트 Colón campeón de Fútbol Femenino http://www.auf.org.u[...] auf.org.uy 2013-12-17
[3] 웹사이트 Femenino: Colón Campeón Uruguayo http://www.tenfield.[...] tenfield.com.uy 2013-12-18
[4] 웹사이트 Fútbol femenino: Colón campeón uruguayo http://www.futbol.co[...]
[5] 웹사이트 Femenino: Colón campeón http://www.tenfield.[...] tenfield.com.uy 2015-11-14
[6] 웹사이트 Colón campeón femenino http://www.auf.org.u[...] auf.org.uy 2015-11-14
[7] 웹사이트 Colón se proclamó tetracampeón en el fútbol femenino http://ecos.la/2/dep[...] ecos.la 2016-11-23
[8] 웹사이트 ¡Peñarol Campeón Uruguayo de Fútbol Femenino! - Club Atlético Peñarol http://www.xn--pearo[...] 2022-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